Please ensure Javascript is enabled for purposes of website accessibility

덧붙이며

21세기 돌봄 시스템의 실마리, 지원주택
본 연구는 지원주택 당사자 생애서사 연구참여자들의 현재 상황과 어려움이, 다양한 과거 사건들과의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연구의 주요 방법론인 생애구술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삶 전반에 걸친 사건들 간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려 노력했다.

그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이 그 일련의 사건 속에서 어떻게 스스로 대응하였는가 또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연구참여자들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은 연구자에게 스스로 재구성한 자신의 생애를 이야기 하면서 치유의 과정이자 자신감을 회복하는 기회를 갖기도 했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생애 전반을 시스템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과정은 '지역사회에서 자립해서 살아가는 것이 왜 어려운가'라는 질문에 대한 공통적인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이었다. 이 과정에서 지원주택 현장과 정책, 학계 등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과 함께 ‘시스템 매핑' 워크숍을 진행하여 그 원인을 이야기해보기도 했다.

표면적인 요소들은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아주 다양했지만, 그 심층에 자리한 원인은 우리사회 전체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는 집합적인 멘탈 모델과 이를 통해 형성된 제도와 법규 그리고 이에 근거해 운영되는 사회서비스들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은 계속 순환하며 서로를 강화하고 있다.


도전하는 모델

지원주택 모델은 표면적인 원인을 중심으로 보면 주거를 중심으로 여러 문제를 종합적으로 개선해나가는 온전히 훌륭한 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그 심층에 자리 잡은 원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면, 지원주택은 우리 사회가 뿌리내리고 있는 사회 시스템과 인식에 대해 계속해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도전하는 모델'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생애를 살피고 분석하면서 이들이 겪은 어려움들과 마주한 문제들은 그 개인의 판단과 결정보다는 이 사회가 가진 차별적인 구조로 인해 더욱 악화된 것임을 확인했다. 지원주택이 지향하는 사회 즉 누구든 지역사회에서 자립해서 살아갈 수 있는 사회, 모두를 포용하는 사회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기반한 사회다. ‘지원주택’은 삶이 펼쳐지는 현장에서 기존 시스템에 대해 질문하며, 새로운 현장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서사를 펼치며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직접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지원주택은 이제 시범 사업을 넘어 본 사업이 되었다. 국제적인 흐름과 지역 사회 돌봄 시스템 구현과 관련된 정책들과 운동이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지원주택이 우리 사회에 던진 질문과 경험을 새로운 모델을 계속적으로 등장시키면서 급진적 돌봄, 시민적 돌봄, 보편적 돌봄은 현실화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이 모델을 통해 탈시설을 실현하고 지역사회 독립을 이룰 이들을 생각하면 수적인 확산 또한 중요하다. 나아가 규모적인 확산을 넘어서 다양한 수준의 새로운 모델들이 나타나도록 돕는 것 또한 지원주택의 주요한 역할이 될 것이다.


지역사회는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장소이며, 그 삶들은 서로 깊이 연결되어있다. 개개인의 좋은 삶은 이 삶들이 연결되어 서로를 돌보면서 성장하고 발전했을 때 가능하다. 그동안의 돌봄은 시혜적인 접근에서 출발하여 필요한 것을 제공 하거나 개인이나 기관에서 전담하도록 구조화 되어왔고, 그 결과 온전하게 작동하는데 한계를 경험했다. 이제는 지역사회 전체가 서로 돌보는 공동체로 전환하여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가 연대하고 관계를 맺으며 서로의 삶을 돌보아야 한다.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응축된 공간인 지원주택이 그 마중물이 되어 지역사회 돌봄 패러다임을 전환할 가능성을 보여줘야 한다. 그래야 지원주택 자체로 또다른 섬으로 고립되거나 배제되지 않고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지속가능하게 작동할 것이다.


본 연구 속에서 지원주택 입주자들이 이야기한 ‘새로운 서사’는 지원주택이 지향하는 사회로서, '21세기 돌봄 시스템'을 우리가 그려보는데 도움이 되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그리고 ‘21세기 돌봄 시스템’은 새로운 사회적 약속, 새로운 제도와 법률, 사회적 규범과 인식이 반복적으로 재구성 되어가며 도래할 것이다. 또한 개인의 불행과 결여로 해석되던 일들은, 좋은 삶을 위한 좀 더 근본적인 변화를 촉구하는 질문이 되어 되돌아올 것이다.


참고문헌

국내

김도현 (2019) 장애학의 도전 오월의봄
김명숙 (2011)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접근 박사학위, 백석대학교
김상민, 김현호, 이성원 (2020) 삶의 질과 사회적 연결망: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공공정책부문 효과분석 지방행정연구 34(1), 227-268
김영옥, 메이, 이지은, 전희경 (2020) 새벽 세 시의 몸들에게: 질병, 돌봄, 노년에 대한 다른 이야기 봄날의책
김인제, 민소영(2020) 혼합방법론을 활용한 지원주택 거주 경험 연구: 서울시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7(1), 249-283
김정혜 외 (2020) 젠더폭력정책에서 보호담론의 한계와 정책 방향 연구 여성가족부
김정혜 외 (2019) 2019년 가정폭력실태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김지혜 (2019) 선량한 차별주의자 창비
김효정 (2020) 코로나19와 가정폭력: 팬데믹의 젠더화된 효과 여성연구 107(4), 5-29
김희경 (2019)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동아시아
나영정 외 (2020) 시설사회 : 시설화된 장소, 저항하는 몸들 와온
남기철 (2018) 서울지 지원주택 조례 제정의 의미 서울시 지원주택 제도 도입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서울특별시의회
박숙경 (2016) 한국의 장애인 탈시설 현황과 과제 지적장애연구 제 18집 1호
박재은 (2016)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피해 인식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4(11), 37-44
서중원 (2018) 나, 함께 산다 : 시설 밖으로 나온 장애인들의 이야기 오월의봄
송아영 (2020) 주거우선 접근방법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자료집
이희연, 박태정 (2010)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연구 78(1), 159-200
인권교육센터 들 (2019) 그런 자립은 없다 교육공동체벗
정희진 (2016) 아주 친밀한 폭력 교양인
진은선 (2020) 시설사회에서 ‘노동’은 무엇인가 2020년 IL과 젠더 포럼 자료집. 8
하금철, 홍은전, 강혜민, 김유미 공저/비마이너 기획 (2019) 아무도 내게 꿈을 묻지 않았다 : 선감학원 피해생존자 구술 기록집 오월의봄


참고문헌

국외 및 번역

Eli Clare (2015) 망명과 자긍심 - 교차하는 퀴어 장애 정치학 전혜은, 제이 역. 현실문화
Hilary Cottam (2020) 래디컬 헬프 - 돌봄과 복지제도의 근본적 전환 박경현, 이태인 역. 착한책가게
Katz. J. (2017) Supportive Housing in New York City -
National Alliance to END HOMELESSNESS (2016. 4. 20) Housing First
Richard Sennett (2014) 무질서의 효용 유강은 역. 다시봄
The Care Collective (2021) 돌봄 선언 정소영 역. 니케북스
Vaillant, G. E. (2013) 행복의 비밀 최원석 역. 21세기북스
Virginia Held (2017) 돌봄: 돌봄윤리 김희강・나성원 역. 박영사


참고문헌

기타자료

김은성 (2021.6.4) 가정 밖 청소년' 23% 노숙 경험…국회입법조사처 "홈리스 청소년 개념 도입해야" 경향신문
교육부 (2020) 2020년 학교폭력 실태조사 -
국가권익위원회 (2018) 노인인권종합보고서 -
김재익 (2019. 6. 19) 자립생활센터의 발전방안 Good Job 스토리웹진
보건복지부 (2021) 2020년 아동학대 주요통계 -
보건복지부 (2020) 2020 보건복지통계연보 -
보건복지부 (2019) 2019년 아동학대 주요통계 -
보건복지부 (2018) 2018 장애인학대 현황보고서 -
서종균 (2020) 청소년 지원주택을 위한 온라인 토론회 자료집 -
정병국 (2021. 6. 30) 정상가족은 없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정창조 (2020. 9. 10) 중증장애인 권리중심형 일자리, 시대와 불화하는 불구의 노동 비마이너
조미경 (2018) 탈시설 운동의 확장을 위한 진지로서의 IL센터 2018 IL과 젠더포럼자료집. 43-5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0)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6) 장애인 고용차별 실태조사 -
BBC News 코리아 (2019.12.23) 가정폭력: 알콜 의존 남성, '가정 폭력 자행할 확률 6배 높아' BBC News 코리아
- Housing First Europe Hub. 3.1 Housing Sustainment
YTN News (2021.4.19) 체벌권 삭제 100일...부모 66%·아동 80% "체벌 금지 몰랐다" YTN News